땅 투기 의혹에 휩싸인 한국 토지주택공사(LH)의 고위 간부가 12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소식입니다.
12일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0분께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한 아파트 앞 화단에서 LH 전북본부장 출신의 A(56)씨가 피를 흘린 채 쓰러져 있는 것을 지나가던 시민이 발견해 신고했다고 합니다. A 씨는 인근 분당 서울대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고 하네요.
그가 남긴 유서에는 '전북에서 본부장으로 근무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했다. 괴롭다. 국민에게 죄송하다'는 내용이 담겨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나흘 전 LH 고위 간부의 죽음을 예언한 커뮤니티 글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해당 글에는 "슬슬 한 명 자살할 때가 된 거 같다"며 "'LH 고위 간부 숨진 채 발견'이라는 헤드라인을 예상해 본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작성자는 "누구 하나 죽는다고 여론이 바뀌겠나"라며 "누구 하나 죽지 말고 개똥밭에서 구를지언정 이승에서 구르며 살아남길 바란다"라는 의견을 전했습니다.
한편 이날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했다. 이에 문 대통령도 "책임지는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다"라고 말해 사실상 사의를 수용했다고 하는데요..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사의를 표했다는 소식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 처남 김 모(65)씨가 과거 소유했던 경기도 성남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내 전답(田畓)이 한국 토지주택공사(LH)에 수용되면서 47억 원의 토지보상 차익을 거둔 것으로 11일 나타났습니다. 김 씨는 지난해엔 보유 중인 또 다른 그린벨트 땅과 관련해 담당 구청에서 “경작용 토지에서 조경(造景) 자재를 판매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시정조치를 받은 사실도 확인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김 모 씨의 농지에는 각종 묘목들이 심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김정숙 여사 동생인 김 씨가 소유했거나 지금도 소유 중인 그린벨트 내 전답 매입 시점은 10여 년 전이고 LH 직원 투기 의혹이 제기된 3기 신도시와도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김 씨도 “투기 목적은 없었다”는 의견을 밝혔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야당은 “김 씨가 그린벨트 땅에서 수십억 대 차익을 봤기 때문에 투자 목적이 아닌지 의심이 남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야당은 “김 씨가 성남 일대 그린벨트 농지를 집중 매입한 배경이 의아하다”라는 입장입니다. 국민의 힘 부동산 투기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곽상도 의원실이 김 씨 토지 거래 관련 서류를 분석한 결과, 김 씨는 2002년, 2005년, 2009년 등 세 차례에 걸쳐 고등동 전답을 매입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 땅을 담보로 은행에서 30억 원대 대출을 받았고, 그 직후인 2010년 9월 성남시 시흥동의 또 다른 그린벨트 내 땅을 샀다고 합니다. 작년 11월 수정구청에서 시정조치를 받은 땅이라고 하네요.
김 씨는 “내가 어디를 봐서 투기꾼 같으냐”며 “1992년부터 묘목 판매업에 종사해왔고 방금까지 인부들과 함께 묘목 포장하는 일을 했다”며 수십억 대 토지 보상 차익에 대해선 “그 일이 알려지고 청와대 민정수석실 직원들이 세 차례 찾아와 조사했지만 농지법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들었다”라고 전했습니다.
작년 8월 국회에 출석한 노영민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도 “20년 이상 묘목식재 업에 종사해왔던 김 씨가 사업상 필요에 의해서 토지를 샀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노 전 실장은 당시 “(김 씨 고등동 땅이 있는) 그린벨트가 해제된 것은 이명박 정부, 토지보상금이 지급된 것은 박근혜 정권 때”라면서 “얼마 번 게 무슨 관계냐”라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문제라기보다는 국민들은 지금 치솟는 부동산 가격에 이리저리 휘둘리며 제 집을 여전히 마련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부지기수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처남이 그린벨트 농지로 인해 40여 억 원 이상의 토지보상 차익을 거두게 된 사실은 국민들에게는 좋게 보일 수가 없겠죠. 김 씨 입장에서는 억울하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말입니다.